
인터넷 방송(인방)은 이제 단순한 취미 방송을 넘어, 주류 엔터테인먼트로 확고히 자리매김했습니다. 2024년, 인방 생태계는 더욱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플랫폼 경쟁은 치열해지고, 숏폼 콘텐츠의 열풍은 거세게 불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4년 인방 트렌드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합니다.
1. 숏폼 콘텐츠, 인방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

틱톡,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등 짧은 영상 플랫폼의 인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인방에서도 숏폼 콘텐츠가 대세로 떠올랐습니다. 시청자들은 짧은 시간에 강렬한 재미와 정보를 원하고, 스트리머들은 이러한 니즈에 맞춰 짧고 임팩트 있는 영상 제작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게임 하이라이트, 먹방, 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숏폼 콘텐츠가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습니다.
- 폭발적인 성장세: 틱톡 광고 수익은 2024년에 1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출처: Vidico), 유튜브 쇼츠는 월 20억 명 이상의 로그인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습니다 (출처: 유튜브 공식 블로그). 이러한 수치는 숏폼 콘텐츠의 엄청난 성장세를 보여줍니다.
- 성공적인 숏폼 스트리머: Khaby Lame(@khaby.lame), Charli D'Amelio(@charlidamelio), Bella Poarch(@bellapoarch)는 틱톡에서 수억 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최고의 크리에이터입니다 (출처: Influencer Marketing Hub, Statista).
- 인기 숏폼 콘텐츠 형식: 코미디 스킷, 댄스 챌린지, 립싱크 영상, 교육 콘텐츠, DIY, 제품 리뷰 등 다양한 형식의 숏폼 콘텐츠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2. 플랫폼 전쟁, 어디까지 갈 것인가?

트위치의 한국 시장 철수 이후, 아프리카TV, 유튜브, 트위치(치지직), 킥 등 다양한 플랫폼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각 플랫폼은 차별화된 기능과 콘텐츠로 시청자들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트위치: 게임 방송에 특화되어 있으며, 젊은 층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풍월량(게임), 침착맨(게임, 토크), 서새봄냥(게임) 등의 인기 스트리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아프리카TV: 한국에서 시작된 플랫폼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별풍선 시스템이 주요 수익 모델입니다. 감스트(게임, 스포츠), 철구(토크, 게임), 외질혜(토크) 등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 유튜브: 가장 넓은 시청자층을 확보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가 강점입니다. 보겸(게임), 쯔양(먹방), 쏘영(게임) 등의 인기 스트리머가 활동 중입니다.
- 킥: 후발주자로서 트위치 출신 스트리머들을 영입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높은 수익 분배율이 강점이며, 엑시스마이콜(게임), 러너(게임), 랄로(게임) 등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3. 인기 스트리머 & 콘텐츠, 춘추전국시대

게임, 토크, 음악, 먹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기 스트리머들이 활약하고 있습니다. 특히 게임 스트리밍은 여전히 높은 인기를 유지하고 있으며, e스포츠의 성장과 함께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게임: 오버워치, 리그 오브 레전드, 발로란트 등이 인기 게임이며, 각 스트리머는 게임 실력, 유머, 소통 등 다양한 스타일로 방송을 진행합니다.
- 토크: 일상, 시사, 유머 등 다양한 주제로 시청자와 소통하는 방송입니다.
- 음악: 노래, 연주, 작곡 등 음악 관련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 먹방: 다양한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방송으로,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 버츄얼 스트리머: 가상 캐릭터를 사용하는 스트리머로, 세아(세아 스토리), 릴파(이세계 아이돌) 등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캐릭터의 매력, 뛰어난 콘텐츠 기획, 팬들과의 소통 등이 인기 요인입니다.



4. 수익 다각화, 새로운 기회를 찾아서

스트리머들은 플랫폼 광고 수익, 후원, 구독, 유료 콘텐츠 판매, 외부 광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NFT, 팬덤 플랫폼 등 새로운 수익 모델도 등장하며, 스트리머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5. 미래, 메타버스와 AI가 그리는 인방의 미래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인방과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은 더욱 활발해질 전망입니다. 시청자들은 더욱 몰입감 있는 경험을 할 수 있고, 스트리머는 새로운 콘텐츠 제작 방식을 통해 더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6. 끊임없는 변화, 인방 생태계의 역동성

트위치의 수익 분배 정책 변경으로 인한 스트리머 이적, 저작권 문제, 플랫폼 정책 변경 등 인방 생태계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최신 정보를 꾸준히 확인하며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년, 인방은 숏폼, 플랫폼 경쟁, 수익 다각화 등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기술 발전과 함께 더욱 빠르게 진화할 인방 시장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